신장이식 생체 기증
 
1.기증자의 조건
 
   
	- 만 20세 이상 만 65세 이하
 
	- 당뇨, 고혈압, 전신감염(간염, 성병, 바이러스 질환 등)이 없는 분
 
	- 지방간이나 염증, 크기 등 기증자의 간의 상태가 좋으신 분
 
	- 2년 이내 암치료 이력이 없는 분
 
※ 혈액형이 적합하지 않는 경우도 부적합 정도 검사 결과에 따라 이식이 가능합니다.
 
2.검사
 
	
		
		
		
	
	
		
			| 순서 | 
			내용 | 
			장소 | 
		
		
			| 1차 신체검사 | 
			1) 신체검진 및 병력 청취 
			2) 혈액검사 
			3) 소변검사 및 X-ray, 심전도 | 
			외래 | 
		
		
			| 2차 검사 | 
			교차반응 검사 | 
			외래 | 
		
		
			| 3차 입원검사 | 
			기증을 위한 기증자 건강 검진 및 영상검사 
			1) 복부 CT 
			2) 위 및 대장 내시경 
			3) 신장 동위원소 검사 
			4) 이식 승인을 위한 순수성 평가 및 정신건강의학과 상담 | 
			입원 | 
		
		
			| 4차 장기기증 | 
			장기 기증 수술 후 퇴원 | 
			입원 | 
		
	
 
3.장기기증 승인을 위한 준비
1) 순수성 평가: 사회복지사의 상담에 의해 진행
	- 이식 대상자와 기증자 간의 관련 서류 심사 및 상담을 통해서 순수성을 평가
 
	- 이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의 승인을 위한 필수 평가입니다.
 
2) 정신건강의학과 상담 : 장기 기증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정신심리적으로 건강함을 평가
	- 이식 대상자와 기증자 간의 관련 서류 심사 및 상담을 통해서 순수성을 평가
 
	- 이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의 승인을 위한 필수 평가입니다.
 
3) 서류 준비
	- 신분증 
 
	- 혈연관계 확인을 위한 서류 :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시 [일반]이 아닌 [상세]를 요청하여 발급
 
 
 
간 이식 생체 기증
 
1.기증자의 조건
 
	- 혈액형이 동일하거나 수혈이 가능한 분

 
	- 만 20세 이상 만 65세 이하
 
	- 당뇨, 고혈압, 전신감염(간염, 성병, 바이러스 질환 등)이 없는 분
 
	- 지방간이나 염증, 크기 등 기증자의 간의 상태가 좋으신 분
 
	- 2년 이내 암치료 이력이 없는 분
 
 
2.검사
 
	
		
		
		
	
	
		
			| 순서 | 
			내용 | 
			장소 | 
		
		
			| 1차 신체검사 | 
			1) 신체검진 및 병력 청취 
			2) 혈액검사 
			3) 소변검사 및 X-ray, 심전도 | 
			외래 | 
		
		
			| 2차 검사 | 
			영상검사 : CT 나 MRI | 
			외래 | 
		
		
			| 3차 입원검사 | 
			기증을 위한 기증자 건강 검진 및 영상검사 
			1) 복부 CT 
			2) 위 및 대장 내시경 
			3) 이식 승인을 위한 순수성 평가 및 정신건강의학과 상담 | 
			입원 | 
		
		
			| 4차 장기기증 | 
			장기 기증 수술 후 퇴원 | 
			입원 | 
		
	
 
3.장기기증 승인을 위한 준비
 
1) 순수성 평가: 사회복지사의 상담에 의해 진행
	- 이식 대상자와 기증자 간의 관련 서류 심사 및 상담을 통해서 순수성을 평가
 
	- 이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의 승인을 위한 필수 평가입니다.
 
2)정신건강의학과 상담 : 장기 기증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정신심리적으로 건강함을 평가
	- 정신심리 검사지를 통해 정신심리 검사를 진행
 
	- 이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의 승인을 위한 필수 평가입니다.
 
3) 서류 준비
	- 신분증 
 
	- 혈연관계 확인을 위한 서류 :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시 [일반]이 아닌 [상세]를 요청하여 발급  
	  
뇌사자 장기기증
사고나 뇌출혈 등으로 뇌의 기능이 손상되고 호흡 및 뇌간반사가 소실되어 회복이 불가능하는 경우 장기 등 법률에 의해 뇌사자는 장기이식을 위한 장기기증을 할 수 있습니다.
1) 뇌사 상태에서 기증할 수 있는 장기
신장, 심장, 간, 폐, 소장, 췌장, 췌도, 각막 등
2) 사망 후 사후 기증할 수 있는 장기
각막 및 인체조직(심장판막, 뼈, 피부, 연골, 인대, 혈관, 양막 등)
3) 뇌사장기기증 신청
장기이식센터(032-890-2900)을 통해 문의 하거나 의료진에게 신청
4) 뇌사장기기증 과정
 
 
5) 장기 기증 후의 장례절차
	- 뇌사판정이 완료되면 법적인 장기기증자의 사망시간이 나옵니다.
 
	- 장기 기증 수술은 5~7시간이 소요되며, 조직까지 기증하는 경우 12~13 시간이 소요됩니다.
 
	- 기증 후 가족이 원하는 장례절차에 따라 장례를 치르도록 고인의 시신을 인도해 드립니다.
 
6) 비용
	- 기증과 관련된 비용은 장기기증원에서 부담합니다.
 
	- 장제비와 진료비 일부 및 위로비가 장기기증원으로부터 추후 지급되게 됩니다.
 
 
시신기증
 
	- 의학발전을 위한 연구목적으로 사후 시신기증을 하고자 하는 분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 교실로 상담, 접수 및 등록을 받습니다.
 
	- 연락처 032-860-9896~8
 
	- 위치: 인하대학교 내 의과대학 해부학 교실
 
 
장기기증 희망 등록
 
1) 방문 등록
	- 가까운 병원의 장기이식센터 방문
 
	- 연락처: 032-890-2900
 
2) 온라인(인터넷) 등록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센터 홈페이지(www.konos.kr)에서 등록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