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이염이란 중이에 발생하는 모든 염증을 가리키는 용어다.
사람의 귀는 외이, 중이, 내이로 구분되며 중이는 고막에서 내이(달팽이관) 사이의 공간으로 소리의 증폭에 관여하는 세개의 이소골이 중이강에 존재한다. 이 중이강 내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을 총칭하여 중이염이라고 부른다.
│ 소아 중이염의 대표적인 증상
중이염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 중에서 가장 흔하다.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수술해야 하는 가장 많은 원인을 제공하는 질병에 속한다.
급성 중이염과 삼출성 중이염으로 구분되는데, 이중 삼출성 중이염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만성 삼출성 중이염이라고 부른다. 급성 중이염은 3주 이내의 급성 염증을 동반한 중이염으로 귀의 통증, 발열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고, 삼출성 중이염은 급성 염증의 증상이 없이 중이강에 삼출액이 고이는 질환이다. 흔히 급성 중이염을 앓고 난 뒤 급성 염증은 사라지고 삼출액만 중이강에 남는 경우를 말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귀통증이다. 중이강 내의 삼출액이 고막을 밀어 팽창하게 되면서 발생한다. 압력이 어느 수준을 넘으면 고막을 터뜨리고 외이도로 흘러나오게 되어 귓물이 발생하기도 한다. 난청이 생기기도 하고 발열, 구토, 어지러움 등을 호소할 수도 있다. 방치하거나 적절하지 못한 치료가 진행되면 두개 내 감염으로 인해 뇌수막염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 소아 중이염의 원인과 치료 방법
소아 중이염은 세균의 침입, 중이과 인두(코의 안쪽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귀인두관의 페쇄, 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귀인두관이 제 기능을 못할 때 발생하며, 감기나 알레르기도 중이염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소아의 경우 다른 소아들과 접촉의 기회가 많아져 감기가 전파되기 쉬우므로 이들에게서 중이염 발병률이 매우 높다.
이경이나 내시경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고막을 관찰해 중이염을 진단할 수 있다. 감염을 나타내는 고막의 염증이나 외이도의 고름 등을 관찰할 수 있다. 그 외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작고 부드러운 귀마개를 귀에 넣고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줄 때 고막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음향 에너지를 측정하는 검사법인 고실(중이)측정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치료는 주로 항생제를 처방한다. 그렇지만 중이염의 정도, 앓아온 기간, 지속의 정도 등을 고려해 병의 진행을 막고 합병증으로의 이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치료를 선택해야 한다. 적절한 내과적 치료에도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고막천자 및 고막을 절개하거나 아데노이드를 제거하는 등의 수술적 요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