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위치 알려주기

[건강의학정보] 어깨 탈구, 즉각적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정형외과 전윤상 교수의 건강제안

2019.07.26

















# 1

어깨 탈구, 즉각적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정형외과 전윤상 교수의 건강제안

# 2

축구동호회 모임에 나가는 이모 씨(30)는 최근 경기를 하다가 넘어지면서 어깨가 빠지는 극심한 통증을 느끼며 응급실을 방문했습니다. 내 팔이 아닌 것 같은 느낌을 받으며 태어나서 가장 큰 고통을 느꼈다고 회상했습니다. 이 모씨는 인하대병원 정형외과 전윤상 교수를 찾아 관절내시경 수술을 받았습니다

# 3
흔히들 말하는 ‘팔이 빠진다’, ‘탈골이다’고 불리는 질환은 어깨관절 재발성 탈구를 뜻합니다. 어깨의 상완 관절이 한번 빠진 뒤, 반복적으로 빠지는 증상으로 전방 탈구가 있고 후방 탈구가 있습니다

# 4

강렬한 통증을 동반해 환자가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데, 외부에서 가해진 물리적 충격이 대부분의 원인입니다. 운동을 하다 심하게 넘어지거나, 부딪히거나, 특정 동작을 할 때 어깨관절의 무리한 가용이나 충격이 가해져 초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5

어깨 관절은 무릎관절과 달리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부상 위험도가 높은데, 20세 이전에 탈구를 겪은 경우 특히 재발성 탈구의 확률이 높습니다. 탈구가 발생했을 때 억지로 뼈를 맞추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즉시 전문 의료진을 방문해 상태를 진단하고 어깨를 맞추고 추가 치료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 6

일반인이 무리하게 어깨를 맞추게 되면 손상 부위의 골절, 추가 손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문의의 세심한 진료로, 어깨 신경이나 혈관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치료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 7

일반적으로 어깨 탈구는 수술로 재발을 방지해야 하는데, 보편적으로 관절내시경을 이용하 파열된 어깨 구조물을 봉합해 복원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지속적 탈구로 어깨뼈의 마모가 심한 경우에는 뼈 이식 수술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 8

인하대병원 정형외과 전윤상 교수는 “수술 후 보조기로 4~6주 정도 어깨관절을 보호한 뒤 스트레칭을 통해 가동 범위를 서서히 늘리면서 운동 강도를 높여야 한다. 어깨 관절의 사용이 빈번한 운동을 할 때 특히 조심하고 스트레칭을 적절히 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 9

어깨는 잘못 관리하면 평생 통증을 초래합니다. 탈구 증상은 즉각적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어깨 전문의를 찾아야 합니다. 인하대병원과 함께 어깨 걱정을 날려버리시는 것은 어떨까요

원하시는 예약유형을 선택해주세요